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유

서울시 난임부부 한약 지원 최대 120만원(1년 1회, 최대 2회 가능)

by 써넹 2025. 3. 30.
반응형
SMALL
서울시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 사업

서울시는 만혼과 고령 출산으로 증가하는 난임 부부를 지원하기 위해, 한의약을 통한 난임 치료를 지원하는 사업을 운영합니다. 이 사업은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잠재적인 임신 능력을 향상시켜 자연 임신을 통한 출산율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 원인불명의 난임 진단을 받은 부부
  • 여성은 출생일 기준 만 44세 이하
  • 서울시 거주자(결혼 및 사실혼 관계 가능)
  • 시술비 지원과 중복 지원 불가

치료 기간

  • 집중 치료: 3개월
  • 관찰 기간: 2개월

지원 내용

  • 한의약 난임 치료 3개월 동안의 첩약비용의 90%를 지원 (10%는 본인 부담)
  • 지원 상한액: 최대 1,200,000원
  •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100% 지원

지원 횟수

  • 1인당 최대 2회 지원 (1년에 1회 가능)

지원 사업 신청 방법

  • 부부 신청: 여성 주민등록 주소지 보건소에 신청
  • 단독 신청: 신청자 주민등록 주소지 보건소에 신청

구비서류

  1. 사전 선별 결과지: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에서 자가 점검
  2. 난임진단서: 원인불명의 난임을 확인할 수 있는 진단서(진단서 유효기간은 신청일 기준 2년 이내)
  3. 검사결과지: 보건소 남녀 임신 준비 지원 사업을 통해 무료 검사 가능
    • 검사 항목: CBC, LFT, FBS, BUN/CR, B형 간염검사 (남성: 정액검사, 여성: AMH, 풍진면역검사 등)
    • 검사 결과 유효기간은 신청일 기준 6개월 이내
  4. 주민등록등본: 신청자와 배우자의 주소지 확인
  5. 가족관계증명서 (부부 주소지가 다른 경우 필요)
  6. 사실혼 증명서 (사실혼일 경우 필요)

출처 : 서울특별시

참여 시 준수 사항

  1. 한의약 난임 치료에 성실히 참여하고, 설문조사 등에도 적극적으로 응답
  2.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 제출
    • 사전 검사: 유효기간 6개월 이내
    • 사후 검사: 치료 완료 후 2주 이내 실시
  3. 치료 시작: 치료 지원결정 통지서 발급 후 2주 이내 치료 시작
    • 2주 경과 시 재발급 필요
  4. 치료 결과 확인: 치료 종료 후 6개월, 1년 후에 임신 여부 및 출산 결과 확인
  5. 치료 중 1개월 이상 중단 시 보건소에 알리고, 치료 종료 처리
  6. 한의약 치료와 의과 난임 시술 병행 시 지원 불가 (또는 환수조치)
  7. 임신 성공 시 치료 종료

지원 신청 시 유의사항

  • 신청 정보에 허위가 있을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며, 지원된 비용이 환수될 수 있습니다.
  • 한의약 치료 과정에서 성실히 참여하고, 사후 결과를 제공해야 합니다.

서울시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 또는 각 보건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난임부부 한의약 지원받기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