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유

서울시 출산한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에게 최대 240만원 지원

by 써넹 2025. 3. 10.
반응형
SMALL
서울시,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 출산휴가급여 지원!

서울시가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를 위한 출산지원 제도를 새롭게 도입합니다. 이는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저출산 위기 극복을 위한 첫 번째 시도로, 출산을 맞이한 자영업자와 프리랜서가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 돕는 정책입니다. 서울시는 이번 지원을 통해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이들에게 출산휴가 급여를 지원합니다.


서울시 출산급여 지원 내용

서울시는 2025년 3월 11일부터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을 통해 출산급여 지원 신청을 받기 시작합니다. 이 지원은 크게 임산부 출산급여배우자 출산휴가급여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임산부 출산급여 지원

  • 대상: 출산한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노무제공자 등
  • 지원금액: 90만 원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150만 원 + 서울시 지원금 90만 원 합산 240만 원)
  • 지원 자격:
    • 고용노동부의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수혜자
    • 출산자녀와 신청자, 주민등록상 서울시에 거주
  • 다태아 지원: 다태아 산모에게는 추가 지원금 170만 원 지급 (최대 320만 원 지원)

2.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 대상: 출산한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노무제공자 등
  • 지원금액: 최대 80만 원
  • 지원 자격:
    • 배우자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출산휴가 사용
    • 출산일 이전 18개월 중 3개월 이상 소득 활동한 경우
    • 신청자, 배우자, 출생자녀가 서울시에 거주


지원 기간 및 신청 방법

  • 신청기간:
    • 임산부 출산급여: 출산일로부터 1년 이내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출산휴가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
    • 특별 기간: 2024년 4월 22일부터 2024년 6월 30일 사이 자녀를 출산한 경우, 2025년 6월 30일까지 신청 가능
  • 신청방법: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을 통해 신청
  • 지급 결정: 신청 후 14일 이내 지급 결정 및 통지


서울시 출산지원의 중요성

이번 출산급여 지원은 고용보험 미적용자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들이 사회보장제도에서 놓치기 쉬운 부분을 보완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이들 또한 출산휴가를 받을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아이를 키우면서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서울시의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서울시의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출산급여 지원출산을 맞이한 자영업자프리랜서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정책입니다. 출산 후 안정적인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울시의 출산휴가급여 제도는 임신과 출산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3월 11일부터 신청이 시작되므로, 해당되는 분들은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말고 몽땅정보만능키 누리집에서 자세한 사항을 확인 후 신청해 보세요!

 

출산급여 신청하기

반응형
LIST